필기전형

필기전형 대행 프로세스

STEP 1

필기시험 설계

STEP 2

시험문항 출제

STEP 3

인성검사 맞춤화

STEP 4

필기시험 운영

절차 개요
A 적정 난이도 분석을 통해 평가틀을
구축한 후 영역별 시험 유형을 설계
B 제안사 내부 보안 출제 시스템을 통해 신규문항 80%
기관맞춤화문항 20%로 시험출제

C
기관 인재상에
휴먼메트릭스 인성검사를 맞춤화

D
지원자 편의와
안정적인 필기시험 운영을 통한
시험 신뢰도 획득

주요 방법
A
  • 필기시험의 문항 난이도 및
    지원자 수준 분석
  • 기관 니즈에 맞춘 직기초
    +직무시험 평가틀 설계
B
  • 정기 개발되는 신규 문항에서
    평가틀 고려하여 문항 선제
  • 프로젝트 착수 이후
    담당 개발 연구원 20% 기관
    맞춤화 신규 문항 개발
C
  • HMQ(휴먼메트릭스 인성검사)의
    51개 하위척도를 사용하여
    기관 인재상에 인성검사 맞춤화 실시
D
  • 지원자의 동선을 고려한
    내ㆍ외부 부착물 부착
  • 필기시험 운영 노하우 활용
  • 사고예방 및 관리 시스템 구축
A 적정 난이도 분석을 통해 평가틀을
구축한 후 영역별 시험 유형을 설계
B 제안사 내부 보안 출제 시스템을 통해 신규문항 80%
기관맞춤화문항 20%로 시험출제

C
기관 인재상에
휴먼메트릭스 인성검사를 맞춤화

D
지원자 편의와
안정적인 필기시험 운영을 통한
시험 신뢰도 획득

A
  • 필기시험의 문항 난이도 및
    지원자 수준 분석
  • 기관 니즈에 맞춘 직기초
    +직무시험 평가틀 설계
B
  • 정기 개발되는 신규 문항에서
    평가틀 고려하여 문항 선제
  • 프로젝트 착수 이후
    담당 개발 연구원 20% 기관
    맞춤화 신규 문항 개발
C
  • HMQ(휴먼메트릭스 인성검사)의
    51개 하위척도를 사용하여
    기관 인재상에 인성검사 맞춤화 실시
D
  • 지원자의 동선을 고려한
    내ㆍ외부 부착물 부착
  • 필기시험 운영 노하우 활용
  • 사고예방 및 관리 시스템 구축

HMQ

(HumanMetrics Questionnaire)

국내 선발에 특화된 직업성격검사(인성검사)로 지원자의 업무태도와 조직적응 가능여부를 측정합니다.

업무실행, 성과창출, 업무혁신, 지속관리의 수준을 측정

지원자의 업무태도 강점과 약점을 진단

지원자의 대인관계 성격역량을 측정

성격 역량 수준과 조직 부정응성을 측정하여
지원자의 양면성 검출

HMQ 옵션

HMQ는 3가지 옵션으로 구성되어 채용 목적 및 대상에 따라 맞춤형 선택이 가능합니다.

OPTION 1 정밀 인성검사

  • 총 문항 수 378문항
  • Normative 4지선 252문항 + Ipsative 126문항 제한시간 60분
  • 8p 심층 리포트 산출 가능

OPTION 2 일반 인성검사

  • 총 문항 수 252문항
  • Normative 4지선 252문항
  • 제한시간 35분
  • 1p 심층 리포트 산출 가능

OPTION 3 현장식 인성검사

  • 총 문항 수 116문항
  • Normative 2지선 116문항
  • 제한시간 30분

특장점

#01

성격의 양면성
(긍정적 요소와 부적응적 요소)
모두 측정가능

#02

블라인드 면접
참고자료 활용 가능

#03

신입, 경력 직원 선발 장면에
특화되어 개발된 직업성격검사(인성검사)

HMQ 리포트

선발, 면접, 배치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심층 분석하여 산출되는 개인보고서가 제공됩니다.

01
Intro

HMQ에 대한 개괄적 설명

02
Overall Report

검사 종합 등급/판정 값 제시

03
Dimension
of Business

피검사자의 업무태도 차원의
특성과 강/약점 제시

04
Dimension
of Organization

피검사자의 조직적응 차원의
특성과 강/약점 제시

05
Team Roles

피검사자의 조직역할 점수

HMAB

(HumanMetrics Aptitude Battery)

HMAB는 공공기관, 일반기업, 현장직의 지원자 특성에 맞게 설계된 능력검사 도구입니다.

HMAB 옵션

OPTION 1 NCS 직업기초
능력평가

  • NCS에서 정의하는 직업능력을 평가
  • 업무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형태의 유형
  • 공공기관/금융기관 신입공채 필기시험에 활용

OPTION 2 일반적성 능력평가

  • 5개 직군별로 고유 필요 능력을 평가
  • 기초 적성능력+응용 업무 능력 복합 유형
  • 주로 민간기업의 수시 필기시험에 활용

OPTION 3 현장직 능력평가

  • 현장직에 필요한 기초 능력을 평가
  • 일반 적성능력보다 쉬운 난이도로 구성
  • 현장 계약직 선발, 정규직 전환 등에 활용
OPTION 1 NCS 직업기초 능력평가

NCS(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정의하는 7가지 직업기초능력을 측정하는 도구입니다.

NCS 직업기초 능력평가 7개 영역 예시

OPTION 2 일반적성 능력평가

일반적성 12영역의 다양한 종류의 적성능력 영역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반 선발 문항에서부터 현장직용 문항까지 폭넓은 난이도의 검사 도구를 제공합니다.

일반적성 능력평가 12개 영역 예시

OPTION 3 현장직 능력평가

현장직 5영역의 다양한 종류의 적성능력 영역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반 선발 문항에서부터 현장직용 문항까지 폭넓은 난이도의 검사 도구를 제공합니다.

현장직 능력평가 5개 영역 예시

Scroll to Top